전체 글

이것 저것 잡다하게 '_'*

    [디자인 패턴]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

    [디자인 패턴] 옵저버 패턴 Observer Pattern

    옵저버 패턴 : 중요한 일이 일어 났을 때 객체들에게 새 소식을 알려주는 패턴 옵저버 패턴의 예시 구독 서비스 (넷플릭스) 3명의 사용자(김레드, 이블루, 최핑크)가 있습니다. 김레드는 현재 넷플릭스를 구독하고 있고 이블루는 구독중인 넷플릭스를 해지하였습니다. 또한 최핑크는 넷플릭스를 구독하려고 합니다. 이때, 넷플릭스가 주제가 되어지며, 넷플릭스의 구독자가 옵저버가 되어집니다 위의 상황일때 넷플릭스의 가격이 천원 인상이 되어질때, 구독중인 김레드에게만 천원 인상 알림이 가게 되어집니다. 이블루와, 최핑크는 현재 넷플릭스를 구독하지 않는 사용자로 옵저버가 아니기에 연락을 받지 못합니다. ------------------------------------------------------------------..

    [디자인패턴] 디자인 패턴이 중요할까?

    각각의 기능에 맞는 패턴을 수립한다라면, 유지보수 할 때에도 편하고, 확장성이 좋아 지지 않을까? 디자인 패턴 공부방식은 head&first와 guru사이트를 기반으로 일단 시작해보자.. ------------------------------------------------------------------------------------------------------ 디자인 패턴의 소개 -전문 용어의 위력 서로 알고 있는 패턴 용어는 막강함 : 해당 패턴을 기반으로 그 안의 내용, 특성, 제약 조건을 같이 얘기할 수 있음 간단한 단어로 많은 것을 얘기 할 수 있음 개발팀의 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음 : 오해의 소지를 최소화 하며 빠른 작업 가능 훌륭한 자극제가 되어짐 : 디자인 패턴을 배울 동기가 부여..

    디자인패턴

    디자인 패턴 공부 시작! 업무에서 사용하거나 활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기록 용으로 작성하려고 함! 해당 페이지는 목차페이지로 쓰지 않을까??

    [MongoDB] mongo 실행시 에러 : Error: couldn't connect to server 127.0.0.1:27017, connection attempt failed: SocketException: Error connecting to 127.0.0.1:27017 :: caused by :: Connection refused :connect@src/mongo/shell/mongo.js:341:17

    mongo를 설치했다. 실행을하려고 명령어에 mongo를 입력했다. 에러가 뜬다. Error: couldn't connect to server 127.0.0.1:27017, connection attempt failed: SocketException: Error connecting to 127.0.0.1:27017 :: caused by :: Connection refused :connect@src/mongo/shell/mongo.js:341:17 왜 연결을 못하는지 모르겠다.. 구글링을 하여 다양한 해결법을 찾아본다. #해결법1 sudo mongod --repair sudo mongod 여전히 안된다. #해결법2 mongod를 입력했다. 다른 에러가 나온다. exception in initAndList..

    MongoDB 설치시 에러 : unknown user 'mongodb' in statoverride file

    Ubuntu 18.04 기준 작성 중 해당 mongoDB를 설치 하다가 해당 부분의 에러가 나타나면서 설치가 중단 될때의 해결법 vi /var/lib/dpkg/statoverride /* 해당파일을 열게되면, mongo로 선언된 2개의 라인을 확인 할 수 있고, 경로를 확인하고 해당 파일을 나온다 */ dpkg-statoverride --remove /var/log/mongodb dpkg-statoverride --remove /var/lib/mongodb /*나온뒤에 해당 부분을 지워주고 다시 설치를 시도하면 해결완료*/

    AWS AMI 다른 계정과 공유하기

    AWS AMI 다른 계정과 공유하기

    특정 계정에서 만들어둔 EC2를 다른 계정에도 같은 환경으로 구축을 하려고합니다! 이때 생성된 AMI를 다른계정에 공유하면 쉽게 구축 할 수 있습니다. 준비사항 : 생성된 AMI, 공유할 AWS 계정번호 AWS 계정번호 확인하는법 엄청 초 간단합니다. 계정번호를 확인하고 싶은 계정을 로그인합니다. 로그인 한뒤 상단의 내 정보를 클릭하여 내 계정으로 들어갑니다. 해당 메뉴를 통하여 진입하면, 계정 ID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계정 ID가 계정 번호 입니다. AMI 다른 계정과 공유하기 EC2 -> 이미지 -> AMI를 들어가면 기존에 생성해둔 AMI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따로 셋팅을 한것이 없다라면 표시여부가 프라이빗으로 보여집니다. 공유하고 싶은 AMI에서 우클릭을 하거나 AMI를 선택한 뒤..

    AWS Aurora에서 Lambda 연결하기

    AWS Aurora에서 Lambda 연결하기

    참고 사이트 :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RDS/latest/AuroraUserGuide/AuroraMySQL.Integrating.Lambda.html Amazon Aurora MySQL DB 클러스터에서 Lambda 함수 호출 - Amazon Aurora 쓰기 트래픽이 높은 테이블에서 트리거로 AWS Lambda 기능을 호출할 때는 주의하십시오. INSERT, UPDATE, DELETE 트리거는 행마다 활성화됩니다. INSERT, UPDATE, DELETE 트리거가 있는 테이블에서 쓰기가 많은 docs.aws.amazon.com -----------------------------------------------------------------------..

    Docker 에러 error response from daemon: oci runtime create failed: container_linux.go:349: starting container process caused "exec: \"/usr/sbin/apache2ctl\": stat /usr/sbin/apache2ctl: no such file or directory": unknown

    도커 파일로 구운 이미지에 대하여 경로가 없었을때에 대한 에러 원인 발생 이유 기존에 웹서버를 아파치를 통하여 구축 했다가 이번 도커파일은 NGINX로 바꾸게되면서 CMD에적힌 명령어가 아파치에 해당하는 것이라 지워짐 도커파일에 설치하게 되는 것에 따라 CMD도 다시한번 체크하기!